메뉴

문서

현금/현물 자부담 비율 계산기

이미 납입한 현금과 현물 금액을 기준으로, 전체 사업비 중 자부담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.

현금/현물 자부담 비율 계산기

(원)
(원)
(원)

값을 입력 후 계산 버튼을 눌러 결과를 확인하세요.

자부담 비율 계산 원리

현금 자부담 비율 = (납입한 현금 ÷ 총 사업비) × 100 현물 자부담 비율 = (납입한 현물 ÷ 총 사업비) × 100 두 값을 더하면 전체 자부담 비율이 됩니다.

예: 총 사업비가 1,000만 원이고, 현금 100만 원, 현물 100만 원을 납입했다면
현금 비율: (100 ÷ 1000) × 100 = 10%
현물 비율: (100 ÷ 1000) × 100 = 10%
자부담 총 비율: 20%

활용 예시

  • 중간/최종 정산 단계에서 현재 자부담 비율이 과제 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
  • 협력기관 또는 내부 회계팀에 납입 현황을 보고할 때 활용
  • 자부담 관련 증빙자료 작성 시 기준 데이터로 사용 가능
  • '정부지원금이 70%를 넘지 않아야 한다'는 조건이 붙은 과제에서, 실제 자부담 비율을 산정하여 요건 적합 여부 검토

주의사항

  • 총 사업비는 과제 제안서 기준 또는 수행기관과 협의된 공식적인 금액을 기준으로 입력해야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.
  • 일부 과제는 현금 자부담 비율이 반드시 일정 비율 이상이어야 하는 조건이 있으므로, 단순히 자부담 총합만 맞추는 것에 그치지 말고 현금 비율을 따로 관리해야 합니다.
  • 현물 항목에는 인건비, 감가상각비, 장비 제공 등 현금 이외의 실물 기여분만 포함되어야 하며, 이에 대한 증빙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.
  • 금액 단위는 원(₩) 기준이며, 천 단위 구분 쉼표 없이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  • 이 계산기를 통해 자부담 요건을 정량적으로 점검하고, 필요 시 조기에 보완할 수 있으므로 과제 실패 리스크를 줄이고 보다 전략적인 사업비 운영이 가능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