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

문서

최소 총 사업비 계산기

이 계산기는 정부지원금과 그에 해당하는 정부지원금 비율(%)을 기준으로,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총 사업비를 역산하여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. 정부나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과제는 보통 '정부지원금은 전체 사업비의 몇 % 이내'라는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를 기준으로 과제 수행을 위해 확보해야 하는 총예산 규모와 자부담 액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습니다.

최소 총 사업비 계산기

(원)
(%)

값을 입력 후 계산 버튼을 눌러 결과를 확인하세요.

총 사업비 계산 원리

총 사업비 = 정부지원금 ÷ (정부지원금 비율 ÷ 100) 최소 자부담 금액 = 총 사업비 - 정부지원금 자부담 비율 = 100% - 정부지원금 비율

예를 들어 정부지원금이 1,000,000원이고, 지원비율이 40%라면:
총 사업비 = 1,000,000 ÷ 0.4 = 2,500,000원
자부담 금액 = 2,500,000 - 1,000,000 = 1,500,000원
자부담 비율 = 60%
이처럼 역산을 통해 사업 전반에 필요한 자금 규모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활용 예시

  • 정부과제 공고에서 '정부지원금 최대 70% 지원' 등으로 조건이 제시된 경우, 나머지 자부담을 고려한 총 사업비 계획을 수립할 때
  • 과제를 신청하기 전, 우리 조직이 감당할 수 있는 자부담 수준을 가늠하고 사업 참여 여부를 결정할 때
  • 내부 자금계획 수립 시, 확보해야 할 외부 자본 또는 투자 유치 규모를 예측할 때

주의사항

  • 과제에 따라 현금 자부담 필수 비율이 별도로 명시된 경우가 있으므로, 단순히 총 금액만 보는 것이 아니라 구성 비율까지도 확인해야 합니다.
  • 일부 과제는 정액 지원이 아닌 정률 지원 조건일 수 있으며, 계산기의 입력값을 정확히 반영해야 오차가 없습니다.
  • 정부지원금은 과제 수행 중간에 조정될 수 있으므로, 항상 약간의 여유를 두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이 계산기는 '최소한으로 필요한 사업비'를 알려주는 것이지, 실제 수행에 필요한 적정 사업비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.
  • 이 계산기를 활용하면 지원 조건에 따라 최소한으로 확보해야 할 자금 규모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, 보다 현실적이고 전략적인 예산 수립이 가능합니다.